2016 한국사회학회 지역순회 특별 심포지움
서울 심포지움
한국 민주주의의 미래(I)
– 사회ㆍ정치변동과 민주주의 –
초청의 말씀
우리 민주주의가 불안하고 위태롭습니다. 1960년 4월의 민주주의가 비록 짧았지만 첫 번째 민주주의 시대를 열었고, 1987년 6월의 민주주의가 오랜 군부독재를 마감하고 두 번째 민주주의 시대를 열었습니다. 그로부터 약 30년의 시간이 지난 오늘, 87년의 민주주의는 시민의 실질적 삶과 분리된 채 대의정치의 장식이 되고 말았습니다. 불안한 사회, 희망 없는 시대의 현실 속에 양극화와 불평등의 골이 깊어가고 있습니다.
힘겹고 고단한 삶 속에서 우리는 너무 빨리, 그리고 너무 오래 민주주의의 문제를 잊고 있는지도 모릅니다. 87년의 민주주의가 진화를 멈춘 이래 이제 세 번째 민주주의의 시대를 모색하는 것이야말로 시대의 과제가 되었습니다. 한국사회학회는 세 번째 민주주의의 시대를 위한 사회과학분야의 공론장을 열고자 합니다. ‘한국 민주주의의 미래’를 대주제로 5회에 걸친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. 한국 민주주의의 복원, 나아가 세 번째 민주주의, 새로운 민주주의에 대한 관심을 독려하기 위해 전국 주요 도시를 순회합니다. 3월 서울, 5월 광주, 7월 대구, 9월 대전, 11월 부산에서 마무리 하는 일정으로 추진하게 될 것입니다.
한국사회학회와 한국사회과학협의회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서울 심포지엄은 사회변동과 정치질서변동의 맥락에서 새로운 민주주의의 과제를 모색합니다. 바쁘시더라도 우리 민주주의의 미래를 고민하는 자리에 부디 함께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.
2016년 3월 15일
한국사회학회장 조 성 남
한국사회과학협의회장 이 진 규
[프로그램 안내]
2016 한국사회학회 지역순회 특별 심포지움
서울 심포지움
한국 민주주의의 미래(I)
– 사회ㆍ정치변동과 민주주의 –
일시: 2016년 3월 31일(목요일), 오후 1:00-6:30
장소: 서울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
주최: 한국사회학회, 한국사회과학협의회
후원: 한국연구재단, 경향신문, 서울연구원
개회식 (1:00-1:30)
사회: 신진욱 (중앙대 사회학과)
개회사: 조성남 (한국사회학회 회장)
환영사: 이진규(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)
축사: 강원택 (한국정치학회 회장)
축사: 김수현(서울연구원 원장)
기조강연 (1:30-2:00)
균형과 평등을 향하는 서울: 협치와 혁신이 만드는 도시민주주의
강연: 박원순 (서울특별시장)
제1부. 사회변동과 민주주의 (2:10-4:10)
사회: 임현진 (서울대 사회학과 명예교수)
한국사회 불평등과 민주주의
발표: 신광영 (중앙대 사회학과)
토론: 김호기 (연세대 사회학과)
공공성 프레임의 변화와 한국 민주주의의 과제
발표: 조대엽 (고려대 사회학과)
토론: 윤상철 (한신대 사회학과)
21세기 정보사회변동과 정치변동
발표: 장덕진 (서울대 사회학과)
토론: 이항우 (충북대 사회학과)
휴식 (4:10-4:30)
제2부. 정치제도변화와 민주주의 (4:30-6:30)
사회: 김원동(강원대 사회학과)
한국 정당정치와 권력구조의 개혁과제
발표: 최태욱 (한림대 국제대학원)
토론: 김민전 (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)
한국의 헌법적 정체성과 헌법민주주의의 현실
발표: 김종철 (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, SSK “사회진보와 공화적 공존” 사업단)
토론: 이준일 (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)
시민정치참여와 민주주의
발표: 정상호 (서원대 사회교육학과, SSK “사회진보와 공화적 공존” 사업단)
토론: 정철희 (전북대 사회학과)
Category: 공지사항